주의사항 (ALERT)
혈전(clots)이나 큰 조직파편 덩어리는 배액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배액관(drainage tubing)의 Y 부위는 특히 쉽게 막힌다.
배액관에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1. 대상자와 접촉하기 전에 손위생을 실시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4. 대상자가 수술 후 복귀하면 폐쇄형 또는 개방형 상처 배액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 그 위치 및 목적을 확인한다. 드레싱 부위에 있는 배액물을 사정한다.
5. 상처 배액관의 개수 및 각 배액관이 배액하고 있는 배액물을 확인한다. 각 배액관에 숫자 또는 적절한 문구를 사용하여 라벨을 부착한다.
6. 의사의 지시사항을 확인하여 배액관이 자가 음압(self-suction)을 걸어주어야 하는지, 벽면(wall) 흡인이 필요한지, 또는 흡인이 불필요한지 결정한다.
7. 장치를 점검하여 한 개의 곧은 관이 있는지 혹은 Y-관이 삽입되어 있어 두 개의 관 삽입부위가 있는지 확인한다.
8. 장치를 점검하여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한다. 전반적인 배액 장치 점검을 실시한다.
9. 대상자가 펜로즈 드레인(Penrose drain)을 사용 중인 경우, 멸균 안전핀이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한다. 안전핀 머리를 겸자로 구부려서 핀이 열려 대상자가 긁히지 않도록 한다. 펜로즈 드레인은 때때로 거즈 드레싱이나 상처 배액 주머니로 덮여 있다. 배액관이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거즈 위치를 조정하는 동안 우발적으로 배액관을 잡아당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10. 사용 중인 배액 용기의 유형을 확인한다.
11. 배액장치가 다 차서 비워야 하는지 확인한다.
12. 배액물의 색깔, 농도, 양을 확인한다.
폐쇄형 배액 장치 (Closed Drainage System)
Hemovac 배액관 (Hemovac drain)
1.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 마스크, 보안경 또는 안면마스크를 착용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치료에 동의하는지 확인한다.
5.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장한다.
6. 뚜껑을 연 멸균 검체물 용기 또는 눈금 실린더를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에 있는 침대 위에 올려놓는다.
7. Hemovac을 비우기 위해 무균 상태를 유지하며 배출구 뚜껑을 연다.
8. Hemovac을 뚜껑이 있는 쪽으로 기울인다.
9. Hemovac의 평평한 양면을 함께 천천히 압축시키며 눈금 실린더에 배액물을 비워낸다 (Figure 8).
10. 주로 사용하는 손으로 알코올 솜을 잡고, Hemovac 배출구가 위로 향하게 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손을 평평한 Hemovac표면 위에 올려놓는다.
11. Hemovac의 윗면이 아랫면과 서로 맞닿을 때까지 주로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위에서 아래로 누른다 (Figure 9).
12. 위면과 아랫면을 함께 잡고, 주로 쓰는 손으로 배출구와 뚜껑을 알코올 솜으로 닦은 뒤 즉시 뚜껑을 교체한다.
13. 대상자의 병상에 Hemovac을 고정한다.
14. Hemovac의 음압 상태 재정비, 배액관의 개방 여부 및 배액관에 문제는 없는지 확인한다.
15. 관 삽입부위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배액물 수집용기를 배치하고 고정한다. 배액물 수집용기에서 상처부위까지 이어진 배액관을 느슨하게 유지한다.
16. 의사의 지시에 따라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a. 대상자가 있는 곳에서 각 의료 기관의 지침에 따라 검체물에 라벨을 부착한다.
b. 검체물 이송을 준비한다.
i.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biohazard bag) 안에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넣는다.
ii. 만약 검체물의 냉장 이송이 필요하면,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검체물을 넣은 후, 얼음으로 채운 또 다른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다시 넣는다.
c. 검체물을 검사실로 즉시 이송한다.
17. 준비물품을 버리고 보호 장구(PPE)를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8. 권고나 지시가 있을 경우, 장갑을 착용하고 배액부위 주변의 드레싱을 교체한다 (Figure 10).
a. 배액물 누출로 인한 자극 여부에 대해 배액관 주변의 피부를 사정한다.
b. 배액관 주변에 배액물이 누출된 경우, 배출 부위 주변에 피부 보호제를 바른다.
19. 각 의료 기관 지침에 따라 날짜와 시간을 라벨에 기재하여 드레싱에 부착하고 이니셜을 표기한다.
20.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한다.
21. 준비물품을 버리고 장갑을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22. 대상자의 차트에 수행 결과를 기록한다.
JP 배액관 (Jackson-Pratt drain, JP drain) (Figure 11A)
1.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 마스크, 보안경 또는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치료에 동의하는지 확인한다.
5.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장한다.
6. 뚜껑을 연 멸균 검체물 용기 또는 눈금 실린더를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에 있는 침대 위에 올려놓는다.
7. 무균 상태를 유지하며 전구 모양의 JP drain 측면에 있는 배출구 뚜껑을 연다 (Figure 11B).
8. 수집용기를 배출구 뚜껑이 있는 쪽으로 기울여 배액물을 검체물 용기에 비워낸다 (Figure 11C).
9. 주로 사용하는 손으로 알코올 솜을 잡고, 다른 쪽 손으로는 전구모양의 배액물 수집용기를 검체물 용기 위에서 누른다.
10. 전구모양의 배액물 수집용기를 누른 상태로 배출구 끝과 뚜껑을 알코올 솜으로 재빨리 닦은 뒤 뚜껑을 즉시 교체한다.
11. JP drain을 상처 부위 아래에 있는 환의에 지시된 구멍을 통해 안전핀으로 잘 고정하였는지 확인한다.
12. 관 삽입부위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배액물 수집용기를 배치하고 고정한다. 배액물 수집용기에서 상처부위까지 이어진 배액관을 느슨하게 유지한다.
13. 의사의 지시에 따라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a. 대상자 참관하에 의료 기관의 지침에 따라 검체물에 라벨을 부착한다.
b. 검체물 이송을 준비한다.
i.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biohazard bag) 안에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넣는다.
ii. 만약 검체물의 냉장 이송이 필요하면,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검체물을 넣은 후, 얼음으로 채운 또 다른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다시 넣는다.
c. 검체물을 검사실로 즉시 이송한다.
14. 준비물품을 버리고 보호 장구(PPE)를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5. 권고나 지시가 있을 경우 장갑을 착용하고 배액부위 주변의 드레싱을 교체한다 (Figure 10).
a. 배액물 누출로 인한 자극 여부에 대해 배액관 주변의 피부를 사정한다.
b. 배액관 주변에 배액물이 누출된 경우, 배출 부위 주변에 피부 보호제를 바른다.
16. 각 의료 기관 지침에 따라 날짜와 시간을 라벨에 기재하여 드레싱에 부착하고 이니셜을 표기한다.
17.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한다.
18. 준비물품을 버리고 장갑을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9. 대상자의 차트에 수행 결과를 기록한다.
T-관 배액 (T-Tube drain)
1.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 마스크, 보안경 또는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치료에 동의하는지 확인한다.
5.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장한다.
6. 뚜껑을 연 멸균 검체물 용기 또는 눈금 실린더를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에 있는 침대 위에 올려놓는다.
7. 무균 상태를 유지하며 배액백 바닥에 있는 배출구 뚜껑을 연다.
8. 내용물을 검체물 용기에 비워낸다.
9. 알코올 솜으로 배출구의 끝과 뚜껑을 닦는다.
10. 배출구 뚜껑을 다시 닫는다.
11. 관 삽입부위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배액물 수집용기를 배치하고 고정한다. 배액물 수집용기에서 상처부위까지 이어진 배액관을 느슨하게 유지한다.
12. 의사의 지시에 따라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a. 대상자가 있는 곳에서 각 의료 기관의 지침에 따라 검체물에 라벨을 부착한다.
b. 검체물 이송을 준비한다.
i.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biohazard bag) 안에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넣는다.
ii. 만약 검체물의 냉장 이송이 필요하면,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검체물을 넣은 후, 얼음으로 채운 또 다른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다시 넣는다.
c. 검체물을 검사실로 즉시 이송한다.
13. 준비물품을 버리고 보호 장구(PPE)를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4. 권고나 지시가 있을 경우 장갑을 착용하고 배액부위 주변의 드레싱을 교체한다 (Figure 10).
a. 배액물 누출로 인한 자극 여부에 대해 배액관 주변의 피부를 사정한다.
b. 배액관 주변에 배액물이 누출된 경우, 배출 부위 주변에 피부 보호제를 바른다.
15. 각 의료 기관 지침에 따라 날짜와 시간을 라벨에 기재하여 드레싱에 부착하고 이니셜을 표기한다.
16.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한다.
17. 준비물품을 버리고 장갑을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8. 대상자의 차트에 수행 결과를 기록한다.
개방형 배액 장치 (Open Drainage System)
펜로즈 드레인 (Penrose drain)
배액물이 감소함에 따라서 상처 내부의 깊은 곳을 치료하기 위해 배액관을 잡아당기거나 진행시킬 권한은 대개 의사에게 있지만, 의사가 간호사에게 이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1.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 마스크, 보안경 또는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치료에 동의하는지 확인한다.
5. 대상자의 사행활을 보장한다.
6. 펜로즈 드레인의 끝을 잡고 의사가 지시한 양의 배액물을 빼낸다.
7. 펜로즈 드레인의 외부 말단에 새로운 무균 안전핀을 장착한다. 안전핀 장착 시 대상자 피부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주의한다.
8. 펜로즈 드레인 주위에 드레인할 수 있도록 거즈를 댄다.
9. 배출부위에 거즈와 복부 드레싱을 하고 테이프로 고정한다.
10. 각 의료 기관 지침에 따라 날짜와 시간을 라벨에 기재하여 드레싱에 부착하고 이니셜을 표기한다.
11.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한다.
12. 준비물품을 버리고 보호 장구(PPE)를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3. 대상자의 차트에 수행 결과를 기록한다.
섬프 (Sump) (예: 아브람슨 흡인 배출관, Abramson’s sump drain)
1.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 마스크, 보안경 또는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치료에 동의하는지 확인한다.
5. 대상자의 사행활을 보장한다.
6. 뚜껑을 연 멸균 검체물 용기 또는 눈금 실린더를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에 있는 침대 위에 올려놓는다.
7. 무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Sump 배액 용기 안의 내용물을 검체물 용기나 눈금 실린더에 비워낸다.
8. 관 삽입부위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흡인관(suction tubing)을 다시 부착하고 고정한다. 흡인한 배액물을 수집하는 용기에서 상처부위까지 이어진 배액관을 느슨하게 유지한다
9. 의사의 지시에 따라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a. 대상자가 있는 곳에서 각 의료 기관의 지침에 따라 검체물에 라벨을 부착한다.
b. 검체물 이송을 준비한다.
i.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biohazard bag) 안에 라벨이 부착된 검체물을 넣는다.
ii. 만약 검체물의 냉장 이송이 필요하면,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검체물을 넣은 후, 얼음으로 채운 또 다른 감염성 검체물 수거백 안에 다시 넣는다.
c. 검체물을 검사실로 즉시 이송한다.
10. 준비물품을 버리고 보호 장구(PPE)를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1. 권고나 지시가 있을 경우 장갑을 착용하고 배액부 주변의 드레싱을 교체한다 (Figure 10).
a. 배액물 누출로 인한 자극 여부에 대해 배액관 주변의 피부를 사정한다.
b. 배액관 주변에 배액물이 누출된 경우, 배출 부위 주변에 피부 보호제를 바른다.
12. 각 의료 기관 지침에 따라 날짜와 시간을 라벨에 기재하여 드레싱에 부착하고 이니셜을 표기한다.
13.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한다.
14. 준비물품을 버리고 보호 장구(PPE)를 제거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15. 대상자의 차트에 수행 결과를 기록한다.
Adapted from Perry, A.G., Potter, P.A., Ostendorf, W.R. (2014). Clinical nursing skills & techniques (8th ed.). St. Louis: Mosby.
Clinical Review: Rachel Hagenbaugh, MSN, RN, PHN, CWOCN, February 2017